뉴스
소아 생체 간이식 생존율 99% | ||
---|---|---|
첨부파일 : 제663호 [뉴스] 소아간이식_수정.JPG | ||
소아청소년과 김경모 교수(오른쪽)가 담도 폐쇄증으로 2년 전 생체 간이식 수술을 받은 소아 환자를 진찰하고 있다
우리 병원 소아간이식팀이 1994년부터 시행한 총 287건의 소아 생체 간이식 수술에 대한 기간별 생존율을 분석했다. 그 결과 최근 10년 동안 시행한 소아 생체 간이식 생존율이 99%로 확인됐다고 밝혔다. 국내 소아 생체 간이식 10년 누적 생존율은 약 85%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.
우리 병원에서 생체 간이식을 받은 총 287명의 10년 기간별 생존율을 살펴보면 ▲1994~2002년(81건) 80% ▲2003~2011년(113건) 92% ▲2012~2021년(93건) 99%로 나타났다. 특히 최근 10년 동안 시행된 93건의 소아 생체 간이식은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생존해 99%의 생존율을 기록했다.
생체 간이식을 받은 환아를 질환별로 살펴보면 담도 폐쇄증(52%)이 가장 많았고, 급성 간부전(26%), 기타 간 질환(11%)이 뒤를 이었다. 수혜자와 기증자 사이의 혈액형 조합은 대부분 적합했고, 4%(11명)는 ABO 혈액형 부적합 이식을 받았다.
국내 소아 생체 간이식은 1994년 간이식·간담도외과 이승규 석좌교수에 의해 처음 시작됐다. 이후 우리 병원 소아간이식팀은 ABO 혈액형 부적합 생체 간이식 및 2대1 생체 간이식 등 국내·외 소아 간이식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.
이번 연구결과는 간이식 분야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「간이식학회지」에 최근 게재됐다. |